봄꽃이 피어나는 3월 산행! 산악사고 예방법과 안전수칙 확인
반응형
봄꽃이 만개하는 3월은 등산객들에게 매력적인 시기입니다. 하지만 이 시기에는 얼었던 땅이 녹아 지반이 약해지면서 낙석, 추락, 미끄러짐 등의 안전사고 발생 위험이 높아집니다. 안전한 산행을 위해 아래의 안전수칙을 숙지하시기 바랍니다.
📌 1. 등산 전 준비사항
✅ 1.1 건강 상태 점검
- 등산 전 자신의 건강 상태를 확인하고, 무리한 산행을 피해야 합니다.
- 특히 평소에 운동을 하지 않았다면 가벼운 스트레칭으로 몸을 풀어주는 것이 좋습니다.
✅ 1.2 등산로 정보 확인
- 계획한 등산로의 난이도, 거리, 예상 소요 시간을 사전에 파악하여 체력에 맞는 코스를 선택해야 합니다.
- 기상 예보를 확인하여 날씨 변화에 대비해야 합니다.
✅ 1.3 장비 및 복장 준비
- 등산화: 발에 잘 맞고 통기성과 방수성이 좋은 것을 선택
- 의류: 일교차가 큰 봄철에는 겹겹이 옷을 입어 체온 조절이 용이하도록 함
- 안전장비: 아이젠, 스틱, 랜턴, 우의, 휴대전화(예비 배터리), 상비약품 준비
📌 2. 산행 중 안전수칙
✅ 2.1 지정된 등산로 이용
- 지정된 등산로를 이용하여 길을 잃는 것을 방지하고, 환경 보호에 동참합니다.
✅ 2.2 발 디딤에 주의
- 낙엽, 이끼, 돌 등 미끄러질 수 있는 지형을 피하고, 발 디딜 곳을 잘 살펴 천천히 걷습니다.
✅ 2.3 낙석 위험 지역 주의
- 절벽이나 협곡을 지날 때에는 낙석에 유의하며, 썩은 나뭇가지나 불안정한 바위를 손잡이로 사용하지 않습니다.
✅ 2.4 휴식과 수분 보충
- 처음 몇 차례는 15~20분 정도 걷고 5분간 휴식
- 산행 중에는 수시로 물을 조금씩 자주 마시고, 쉬는 동안에도 수분과 음식을 조금씩 자주 섭취
✅ 2.5 일행과 보조 맞추기
- 일행 중 가장 약한 사람을 기준으로 산행 속도를 조절하며, 무리한 산행을 피합니다.
📌 3. 비상 상황 대처법
✅ 3.1 길을 잃었을 경우
- 길을 잘못 들었을 때는 당황하지 말고, 아는 위치까지 되돌아가서 다시 확인
- 등산로가 아닌 곳은 출입하지 않으며, 길을 잘못 들었다고 판단되면 빨리 되돌아가야 함
✅ 3.2 부상 발생 시
- 염좌, 골절, 탈구: 부상 부위를 고정하고, 가능한 한 움직이지 않도록 함
- 응급처치 후 신속하게 119에 신고
✅ 3.3 저체온증 예방
- 체온이 저하되었다면 젖은 의복을 제거하고 마른 옷가지로 몸을 감싸며, 저온환경에서 환자를 이동시켜 저온 노출로부터 보호
📌 4. 산행 후 주의사항
✅ 4.1 스트레칭
- 산행 후에는 가벼운 스트레칭으로 근육을 풀어주어 근육통 예방
✅ 4.2 장비 정리
- 사용한 장비는 청결하게 정리하여 다음 산행을 대비
✅ 4.3 건강 상태 확인
- 산행 후 몸에 이상이 느껴지면 즉시 휴식을 취하고, 필요 시 의료 전문가의 상담을 받습니다.
🔎 결론
안전한 산행은 철저한 준비와 안전수칙 준수에서 시작됩니다.
봄철 아름다운 자연을 만끽하며, 안전하고 즐거운 산행을 즐기시기 바랍니다.
추가로, 등산사고 예방과 안전한 산행을 위한 교육 영상을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.
🎥 등산사고 예방영상: 등산사고 예방 유튜브 영상 보기
반응형
댓글